경상도 판소리와 전라도 판소리 비교
판소리는 조선 후기부터 발전한 한국의 대표적인 서사음악으로, 지역에 따라 고유한 특징을 지닌다. 전라도는 판소리의 발상지로 여겨지며, 전주, 고창, 나주, 해남, 보성 등을 중심으로 판소리가 본격적으로 정착하였다. 이에 반해 경상도는 동래, 밀양, 진주 등지를 중심으로 판소리가 확산되었고, 주로 동편제와 중고제의 영향을 받으면서 독자적인 스타일로 발전하였다. 전라도는 동편제, 서편제, 중고제가 공존하며 예술적 깊이를 넓혀 왔으나, 경상도는 민요적 요소가 강하게 반영되어 민중과 밀접한 양상을 띤다.전라도 판소리는 복잡하고 다채로운 선율 구조를 지니며, 느린 진양조부터 빠른 휘모리까지 다양한 장단을 자유롭게 구사한다. 특히 서편제는 섬세하고 감성적인 선율을, 동편제는 힘차고 웅장한 소리를 추구한다. 반면, ..
2025. 5. 3.
가야금 거장 정남희
정남희는 1905년 전라남도 나주에서 태어나 일찍이 가야금에 재능을 보였으며, 8세 때 한덕만에게 가야금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16세에는 협률사에 들어가 연주 활동을 시작하였고, 1924년에는 안기옥에게서 김창조 가야금산조를 전수받았다. 이후 전남 여수의 음악양성소에서 음악을 가르치며, 가야금병창과 산조, 민요, 판소리 등 다양한 장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이 시기 콜롬비아, 빅타, 폴리돌, 오케 등 여러 음반사에서 음반을 취입하며 전국적으로 명성을 얻었다.1930년대에는 조선성악연구회에서 창극 활동을 활발히 하며 , , , 등 주요 작품에 출연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대한국악원에서 박동실, 조상선 등과 함께 국악의 재건에 힘썼으며, 가야금산조의 완성도를 높였다. 6·25전쟁 중 월북하여 평양의 국립예술..
2025.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