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21

판소리 명인 박동진 박동진은 판소리 완창의 전통을 확립한 명창으로, 한국 판소리사의 중흥기를 이끈 인물이라 할 수 있다.1916년 충청남도 공주에서 태어난 그는 16세에 소리의 길에 입문하여 김창진, 정정렬, 유성준 등 당대의 명창들에게 사사하였다. 다섯 바탕을 모두 익힌 그는 1960년대 말부터 《흥보가》, 《춘향가》, 《심청가》 등 판소리 완창 공연을 연이어 성사시켰으며, 이로써 판소리 전통의 본령을 무대 위에 되살리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1969년의 8시간 《춘향가》 완창은 판소리의 내공과 체력, 서사적 구성력을 동시에 입증한 기록으로 남아 있다. 완창이 단지 기술의 과시가 아니라 예술적 통합체로서 전승되어야 함을 실천한 인물이라 평가된다. 그의 소리는 맑고 고른 청구성(淸句聲)의 성음 위에 구성진 장단 감각과.. 2025. 5. 15.
국립창극단의 대표 소리꾼 김금미 김금미 명창은 한국 전통음악의 깊은 뿌리를 지닌 예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외할머니 김옥진 명창은 남도민요 ‘육자배기’의 대가로, 어머니 홍성덕 명창은 전 한국국악협회 이사장이자 여성국극의 대모로 활동하며 국악계에 큰 족적을 남겼다. 비록 어린 시절부터 판소리를 익히지는 않았으나, 고교 시절 전통무용을 배우면서 몸짓과 기량을 키웠고, 어머니의 권유로 여성국극 무대에 서면서 전통음악과 인연을 맺었다. 25세에 성창순 명창을 만나 판소리 ‘심청가’를 본격적으로 배우기 시작했으며, 이후 동편제와 박봉술제 등 다양한 판소리 계통을 섭렵하며 소리의 외연을 넓혔다. 국립창극단에 1999년 입단한 김금미 명창은 처음에는 판소리 수련생으로서 창극 무대 경험이 부족했으나, 뛰어난 음악성과 발성, 그리고 진지한 자기.. 2025. 5. 8.
황병기 <침향무> 황병기의 '침향무'는 1974년에 발표된 창작 가야금 독주곡으로, 그의 음악 세계에서 새로운 지평을 연 대표작이다. 이 곡은 신라 불교미술의 정신과 서역적 요소를 조화시켜 감각적이고 관능적인 아름다움을 법열(法悅)의 차원으로 승화시킨 작품이다. '침향'은 인도의 고귀한 향기로, 곡명은 '침향이 서린 곳에서 추는 춤'을 의미한다. 전통 가야금 조율과 달리 범패(불교음악)의 음계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조현법을 사용해, 미-라-도 음이 핵심을 이루며, 이로써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의 음악적 융합을 시도했다.음악적 구성과 연주 기법 면에서 '침향무'는 매우 독창적이다. 가야금 줄을 기존과 다르게 조율하고, 양손을 모두 활용해 뜯는 기법, 두 줄을 동시에 연주하거나 줄을 비비는 등 전통 가야금 연주에서 보기 .. 2025. 5. 5.
경상도 판소리와 전라도 판소리 비교 판소리는 조선 후기부터 발전한 한국의 대표적인 서사음악으로, 지역에 따라 고유한 특징을 지닌다. 전라도는 판소리의 발상지로 여겨지며, 전주, 고창, 나주, 해남, 보성 등을 중심으로 판소리가 본격적으로 정착하였다. 이에 반해 경상도는 동래, 밀양, 진주 등지를 중심으로 판소리가 확산되었고, 주로 동편제와 중고제의 영향을 받으면서 독자적인 스타일로 발전하였다. 전라도는 동편제, 서편제, 중고제가 공존하며 예술적 깊이를 넓혀 왔으나, 경상도는 민요적 요소가 강하게 반영되어 민중과 밀접한 양상을 띤다.전라도 판소리는 복잡하고 다채로운 선율 구조를 지니며, 느린 진양조부터 빠른 휘모리까지 다양한 장단을 자유롭게 구사한다. 특히 서편제는 섬세하고 감성적인 선율을, 동편제는 힘차고 웅장한 소리를 추구한다. 반면, .. 2025. 5. 3.
가장 오래된 악기 알아보기 슬로베니아의 디브예 바베 동굴에서 1995년 발견된 곰뼈 조각은 인류 음악사의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약 4만3,000년 전 네안데르탈인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유물은 동굴곰의 넙다리뼈에 손가락 구멍이 뚫린 형태로, 학계에서 "디브예 바베 플루트"로 명명되었다. 그러나 이 유물의 진위를 둘러싼 논란은 지속되고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하이에나의 치아 자국이나 자연적 침식으로 인해 구멍이 형성됐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이는 단순한 뼈 조각일 뿐이라는 주장도 있다. 반면 슬로베니아 국립박물관은 이를 네안데르탈인의 악기로 공식 인정하며 복제품 연주 실험을 통해 음계 생성 가능성을 입증하려 시도했다. 이처럼 학술적 논쟁의 중심에 선 디브예 바베 플루트는 선사시대 인류의 음악적 행위 존재 여부를 가르는 결정적 .. 2025. 5. 3.
가야금 거장 정남희 정남희는 1905년 전라남도 나주에서 태어나 일찍이 가야금에 재능을 보였으며, 8세 때 한덕만에게 가야금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16세에는 협률사에 들어가 연주 활동을 시작하였고, 1924년에는 안기옥에게서 김창조 가야금산조를 전수받았다. 이후 전남 여수의 음악양성소에서 음악을 가르치며, 가야금병창과 산조, 민요, 판소리 등 다양한 장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이 시기 콜롬비아, 빅타, 폴리돌, 오케 등 여러 음반사에서 음반을 취입하며 전국적으로 명성을 얻었다.1930년대에는 조선성악연구회에서 창극 활동을 활발히 하며 , , , 등 주요 작품에 출연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대한국악원에서 박동실, 조상선 등과 함께 국악의 재건에 힘썼으며, 가야금산조의 완성도를 높였다. 6·25전쟁 중 월북하여 평양의 국립예술.. 2025. 4. 23.